많은 성인들은 자신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잘 인지하지 못한다. ADHD는 어린이에게 흔하며, 학령의 아동이 약 11%가 진단을 받는다.
ADHD는 이미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힘들어져도 명확하게 진단을 내리기 어려운 부분이다 보니 ‘컨디션이 저조한 탓이겠지..’하며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ADHD의 증상은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ADHD는 신경 발달 질환이기 때문에 앓고 있는 사람들은 집중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쉽게 산만해진다. 하지만 성인들은 자기가 ADHD를 앓고 있는 것이라 인지하지 못하고 치료를 받지 않게 되며 결국 모든 것에 영향을 받게 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의사들은 남성에게서 ADHD를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은 아마도 여성들이 ADHD의 증상을 잘 보여주지 않기 때문일것이다.
예를 들어 부주의와 같은 내적 증상은 여성에게 더 두드러지며, 과민성과 충동성 같은 외부화 증상은 남성에게 더 두드러진다, 이는 의사들이 여성에게 올바른 진단을 할 가능성이 적다는 의미다. 또한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증상을 숨기기 위한 대어 법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오진이나 치료 부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성인 ADHD란?주의력 결핍 과잉 행 동장 애라 도고 하며, 말 그대로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이 보이는 상태
성인 ADHD의 원인
1. 가족력 및 생물학적 요인
부모나 형제 중 ADHD 환자가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일방인에 비해 2~8 가량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특히 부모가 같은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저녁 ADHD를 갖고 있을 확률이 55%에나 이른다.
신경전달물질(노파미느노르에피네프린 등)과 관련된 유전자가 원인일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2. 심리적, 환경적 요인
가정 내 정서불안을 일으키는 요소가 있거나,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한 경우에 ADHD가 나타날 확률이 높다. 이외에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합병증, 임신 시 태아가 흡연에 노출되는 경우 등이 있다.
심한 학대 및 방임이 주의 산만이나 충동성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3. 두뇌의 구조적 요인
MRI 검사에서 전체 뇌 및 소뇌 용적이 적은 경우와 같은 '두뇌의 구조적 요인'도 성인 성인 ADHD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리 뇌의 전전두엽 부위는 집중과 충동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청 반핵 또한 집중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런 뇌의 부위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이상을 중요 원인으로 봅니다
ADHD 증상
1.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데 오래 걸린다.
2. 일을 순차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3. 독서나 대화 시 쉽게 집중력이 떨어진다.
4. 한 번에 여러 일을 시작하지만 끝마치기가 어렵다.
5. 약속을 자주 깜박하는 건망증 증세가 있다.
6. 시간과 돈을 계획적으로 관리하지 못한다.
7. 안절부절못하는 모습이 많이 보인다.
8. 갑자기 말이 지나치게 많아진다.
9. 폭식, 게임중독, 폭발적임 감정 표현, 과소비등 자제력을 읽고 하나에 빠지면 헤어 나오지 못한다
10. 물건을 쟁여두는 습관이 있다.
아동 ADHD와 성인 ADHD의 차이점
성인 ADHD 중 20% 정도고가 반사회적 특성을 보이고 이로 인해 범죄율도 높은 편이다. 운전을 할 때도 일반인에 비해 추돌, 과속, 법규위반, 난폭운전 등 위험한 운전습관을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 , ADHD를 가진 경우 일반 성인에 비해 54%가 높은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정과 행동조절의 어려움이 위험한 운전이 원인인 것이다.
ADHD의 치료
ADHD 치료 방법으로 약물치료가 있습니다.
중추신경 자극제인 메칠 페니 데이트와 비정 신자 극제인 아토목세틴을 처방하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약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인지행동요법, 감정조절 훈련 등을 통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건강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른쪽 왼쪽 갈비뼈 통증 원인 (0) | 2022.03.12 |
---|---|
매운맛 1등,고추의 10가지 효능 (0) | 2022.03.11 |
생명력이 강한 풀,쑥의 효능 (0) | 2022.03.09 |
급성 심근경색 원인과 증상및 치료 (1) | 2022.03.09 |
고혈압 증상과 낮추는 방법 (0) | 2022.03.08 |
댓글